업이 업인지라......전화할일이 조금 많습니다.


저가형 블루투스가 시중에 많이 나와있지만, 성능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합니다.


일단 4만원 이하 제품은 저가형이라고 봅니다. 아마 다들 4만원이면 비싸다고 생각하실듯 싶은데요.


사용해 보시면 압니다. 왜 저가형인지를요....ㅡㅡ;;


블루투스에 관심을 두고 계신분들이라면, 전화를 많이 쓰는 업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쓰시는 블루투스를 유심히 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주로 택배하시는 분들과 퀵 등....


그분들 귀를 보시면....대부분 10만원대 근처의 제품이 꽂혀있습니다. ^^;; 저도 제품 고르면서 이것저것 많이 봤기 때문에 똑같은 제품이 아니더라도 대충 가격은 알고 있죠. 혹시 사치라고 생각되시는 분들고 계실 것 같네요.


하지만 절대 사치나 과소비가 아닙니다. 써본사람만이 그 가치를 알기 때문이죠.


저는 약 2년전에 큰맘먹고 10만원대 블루투스를 구입했습니다. 당시 시중 제품중에 가장 비싼 제품은 아니였고.....ㅎㅎ


약간의 공돈이 생겨 지르게 되었지만......절대 후회없는 제품이었습니다. 후에 3만원대 후반 제품을 써봤는데.....저가형은 저가형이더군요 ㅠ.ㅠ


일단 블루투스를 구입하고자 마음 먹으셨다면 주 사용용도를 고민해 보아야겠지요?


대부분 운전중에 사용하게 되는데요. 차에 있는 시간이 평균 3,4시간 이상이고, 평균통화시간이 5분이상이라면, 또 영업을 하시는 분이라면 거금을 투자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저가형 제품들은 귀에 통증을 수반하고, 통화품질도 많이 떨어집니다. 특히나 영업하시는 분들은 투자해야합니다. 거래처와 통화시 잡음이 많이 들리고, 상대편 음성을 잘 듣지 못해 다시 말해달라는 얘기를 밥먹듯 해야할 터이니까요.....





요거이 제가 구입했던 제품입니다. 일단 뽀대가 ㅎㅎㅎ (단종된 제품입니다.)


통화시 상대방이 블루투스를 사용하는지 이어폰을 사용하는지 절대(?) 알지 못합니다. 폰을 얼굴에 대고 통화할 때보다 통화품질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죠. 제가 말하기 전엔 블루투스의 사용유무를 상대가 알지 못합니다.


내 음성도 잡음없이 또렷하게 전달되고, 상대방의 음성도 정확하게 잘 들리죠.


그리고......이놈 참 편합니다. 한시간이상 통화를 해도 불편함이 없습니다. 폰을 손으로 들고 통화해도 팔과 귀가 아플텐데 말이죠. ^^


100km 이상으로 주행한다면 잡음이 좀 섞일 수 있습니다. 고속 주생시 차량에서 발생되는 풍절음은 폰을 들고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하지만 80km대 주행시엔 잡음이 전혀 없습니다. 물론 통화상대에게 말이죠.


고가의 세단을 가지고 계신다면 140~150km 에서도 잡음이 없습니다. 제 차가 모닝인데요. 80km만 넘어가도 풍절음이 장난아닙니다. ㅠ.ㅠ 그런데 상대는 그 풍절음이 안들입니다. 저만 한쪽귀로 듣죠. ;;


블루투스 사용 빈도가 적거나 사용시간이 짧은 분들은 저가형 제품을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잠깐을 사용하더라도.....저가형 제품은 사용이 꺼려지게 됩니다. 귀에 닿는 감촉도 좋지 않고, 통화품질이야 뭐 말할 것도 없구요.


결국 구입가이드라고 적어놓고, 고가의 제품을 홍보하는 모양새가 되어버렸네요. ^^;;


하지만 제가 1년이상 사용해보고 드리는 말씀이니 직접 체험(?)을 하시는 수고는 덜어내셨으면 합니다.


소비자는 소비의 가치를 반드시 따져보고, 검증해야합니다. 비싼돈주고 사서 '그래 이정도면 괜찮아....'라고 스스로 위로하는 모습은 지양해야 합니다.


혹 블루투스를 새로 구입하시거나, 교체를 생각하고 계신분들께 도움이 될까해서 글 올립니다.


 - 소비의 가치를 고민하는 까탈스러운 한 소비자의 글이었습니다. ^^;;

'일상의 기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문의 왕도, 글쓰기요령  (0) 2015.12.04
효자침  (0) 2015.10.22
월페이퍼 taehee 1680,1920*1050  (0) 2012.02.23
캣쉿원 (Cat shit one)  (0) 2012.01.23
16회 푸드페스티벌 (16th Food Festival)  (0) 2012.01.20

서울시학생인권조례안.......

총 6편에 걸쳐 포스팅을 했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포스팅을 보았다.


사람마다 시각이 틀리고 생각하고 느끼는 바가 다르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글을 읽을때마다 드는 생각은 똑같다.


"이사람 조례안 읽어보기나 했나?"

도무지 말도 안되는 이야기들과 어디서 줏어들은 풍문을 마치 자신의 의견인양 내세우고 있다.

진짜 중요한 내용은 본 적도 없으면서, 신문기사나 타 블로그의 글을 보고 대충 끄적인 수많은 블로거들......


그럴바에야 그냥 스크랩해서 올려놓는 것이 백번 나을 듯 싶다.

혹여 난 읽어봤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그런 사람이 더 웃긴다.

읽어보고도 그런 내용을 포스팅한단 말인가? 모든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기는 커녕 각 장의 제목이라도 제대로 읽어봤다면 그런 소리는 나올 수가 없다.

아니면 조례안이 어떤 것인지 전혀 지식이 없거나, 텍스트만 읽고 뇌는 잠시 재워두었거나.......


많은 사람들이 읽어볼 터인데.......낚시질하는 기자들 따라하는 것인지.....


수많은 정보가 인터넷에 떠다니지만......대부분 허상이고 거짓뿐이니.......

서울시학생인권조례전문을 시작으로 각 항목을 크게 4파트로 나눠 곱씹어(?) 봤습니다.

 

내용도 많고, 글도 길어서.......관심가는 분들은 전부 읽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토를 달아놓은 글이 아닌 조례전문을요......  http://asher-tech.tistory.com/91

 

전문을 다 읽어보고, 각 항목에 대한 나름대로의 평가를 내려봤습니다. 실제 감춰진 속내도 볼 수 있었구요.

그럼 조례전문을 다 읽기도 벅차고, 귀찮고, 머리아픈분들께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일선 교사는 학생들에게 더이상 아무 관심도 갖지 말아라.

2. 학생들의 세계를 사회처럼 철저히 계급사회로 만들겠다. (부에따른 계급)

3. 새 조직을 구성하여 철밥통 자리를 늘리고, 차기 교육감이 타 정당에서 나올 경우를 대비해 안전장치(?)를 만들겠다.

 

이렇게 3가지만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위 내용이 믿기지 않고, 무언가 편향된 시각이 보인다고 느껴지는 분들은 조례 전문을 꼼꼼하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적어도 3번이상 정독하고 나온 분석결과입니다.

 

현재 일선 교사들은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 쏟을 시간을 상위기관에서 던져주는 잡일에 쏟고 있습니다.

조례를 만든 사람들은 교육에 전혀 관심이 없으며, 문외한이며, 돈 말고는 관심이 없는 놈들입니다.

 

교사는 교육에 매진할 수 없고, 학부모들은 자녀들 뒷바라지와 연일 떠들어대는 언론의 장난질에 휘청거리게 될 것이고, 학생들은 돈이면 다 되는 사회를 어려서부터 몸으로 배우게 될 것입니다.

 

지금 해외에서 공부하는 자녀를 둔.....기러기아빠라고 불려지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대학교수들 입니다.

그들은 왜 자녀들을 해외로 보낼까요?? 자신이 국내 대학의 교수이면서 자녀들은 해외에서 공부를 시킵니다.

많이 배운 사람들입니다. 재력도 어느정도 있는 사람들 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압니다. 국내 교육은 더이상 교육이라고 불려질 수 없다는 사실을요.......

 

많이 배우고, 많이 가졌다는 정치인들과 재벌들은 상대적으로 덜 배우고, 덜 가진 사람들을 상대로 그 몇푼 안되는 돈을 뺏어 먹으려고 눈에 불을켜고 달라들고 있습니다.

 

잠시 호흡을 가다듬고, 정신을 차리고 세상을 한번 바라봐 주십시요. 무엇이 잘못되고, 누가 잘못하고 있는 것인지.......국민들, 서민들은 잘못 없습니다. 다만 정치인을 욕하고 재벌을 욕한다고 내 삶이 바뀌고, 세상이 바뀌진 않습니다.

 

스스로 세뇌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그 세뇌의 주체가 누군지, 세뇌의 내용이 무엇인지 파헤쳐보시길 바랍니다.

먹고살기 바빠 그럴시간 없다구요?? 당장 TV끄고, 인터넷 기사 그만보면 됩니다. 시간 충분합니다.

 

저런 쓰레기같은 조례가 나오지 않게 할 방법을 찾아야합니다. 세뇌에서 깨어나고, 사물을 정확히 분별할 수 있는 혜안을 가져야합니다.

 

조금만 시간을 들이고, 조금만 생각해보면 누구나 세뇌에서 깨어날 수 있고, 혜안을 가질 수 있습니다.

부디 이 글이 혜안을 갖는 일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