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냄비근성이라는 얘길합니다.

바로 전 글에도 적었지만 이는 철저히 환경과 역사에 기인한다고 생각이 드네요.

너무 빠르게 계절이 지나고

다음계절을 준비해야하고 지난 계절용품을 정리해야하고

너무도 더운 날씨에 겨울 이야기를 아무도 하지 않듯

지난 겨울에 큰 일이 있었어도 여름이 되면 계절의 변화에 묻혀 잊혀지게 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반만년이라는 역사

너무도 긴 시간이라 기억해야할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큰 사건이라도 꼭 기억에 남겨두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지 않죠.

이미 오천년동안의 사건사고가 많은 탓이 아닐까요?

그리고 확인하진 못했지만 미국의 보관(?)문화 얘길 들었습니다.

아주 큰 사건이었던 9.11 테러

미국인들은 당시 자료화면과 뉴스 방송 등을 녹화해서 한쪽에 잘 보관해 둔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사실이라면 이 또한 그 나라의 환경과 역사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애초에 미국 역사는 2백년밖에 되질 않았고

우리보다는 기후변화가 심하지 않습니다.

짧은 역사 때문에 기억하고 싶어도 기억할일이 많지 않습니다.

기후의 변화가 더디기에 빨리빨리 문화도 없고

역사가 짧아 큰 사건사고가 많지 않다는 것

이런 연유에서 그런 문화가 나오지 않았나 싶네요.

사람들은 냄비문화라고 비난하면서도

그 이유에 대해 고민하지 않기 때문에 몇자 적어봤습니다.

동감을 구하진 않습니다.

다만 고민을 해볼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당신은 어떤가요??

인간은 환경을 바꾸고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또 바꾼 환경에 지배를 받게된다.

인간의 본성과 습관 등 모든 부분에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그 환경이라는 것이 많지만 자연환경만 일단 생각해보자.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렸하다고 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빨리빨리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요인중 하나하는 생각이 든다.

봄이되면 여름을 준비하고, 때론 가을 겨울까지 준비하기도한다.

또한 여름이되면 가을을 준비하고

가을에 접어들기 시작하면 추운 겨울을 날 준비를 한다.

준비가 끝이 아니다. 준비한 것들을 치우거나 잘 정리해둬야한다.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들은 완전히 치워버려야하고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잘 정비해서 보관해야한다.

결국 빠르게 움직이지 않으면 금새 다음계절이오고 그 계절을 버티기 힘들어지는 것이다.

한국 사람은 부지런하다는 선입견도 이런 원인이 있지않을까?

근면성실한것이 아니라 그저 살아남기 위해 빠르게 움직여야하는 것이다.

밥을 굶지 않기 위해 얼어죽지 않게위해 끊임없이 다음계절을 준비하고 다음해를 준비해야하는 것이다.

기후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은 어떨까?

다들 알다시피 온난한 남쪽 나라들은 곡물도 쉬 잘 자라고 일년내내 밖에서 자도 얼어죽을 일이 없다. 열대 과일들 풍성하여 부지런하지
않아도 굶어죽을일이 거의 없다.

그럼 좀 추운지역을 보자.

예전에 몽골 출신의 공사장 인부 이야기를 듣게 됐다.

몽골은 겨울에 엄청나게 춥다. 기온도 낮고 허허벌판에 바람도 매섭다.

하지만 그들이 한국에 와서 겨울철 공사현장에 투입되니 추워서 일을 못한다 하더라.

왜그런고하니 그들은 겨울을 준비하고 겨울이 되면 너무 추워서 집밖에 거의 나오지 않고 그저 생존에만 집중한다더라.

그런데 우리는 겨울에도 움직인다. 다가올 봄과 여름을 대비해야하기 때문이다. 또 다음계절이 너무 빨리온다.

우리나라 기후가 그저 좀 따뜻하거나 아주 추웠다면 빨리빨리 문화는 이렇게까지 퍼지지 못했을듯 싶다.

또한 기후가 점점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인간은 환경을 바꿀 수 있고 대비할 수 있지만 결국 환경의 지배를 받는 동물중의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특징은 철저히 기후의 영향에 의한것이 아닌가 싶다.

혐오스럽기까지한 냄비근성이라는 것도

이런 기후에 살다보면, 극심한 기후의 변화를 반복해서 겪다보니 그런것이 아닐까?

지난 겨울이 엄청나게 추웠어도 곧 봄이어고 엄청나게 더운 여름이 온다.

여름에 지난 겨울의 추위를 기억할 순 있지만 당장 더우니 그런 기억을 떠올릴 이유가 없는 것이다.

자연환경에 비춰본 한국인들의 특징을 떠올리다보면 이해할 수 없던 사람들의 행태가 조금 이해가 되기도한다.

기후변화가 심한것이 장점인제 단점인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국민들의 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 아닐까??

기술이라는 이야기를 하려면

우선 기술이 무엇이냐는 문제를 생각해봐야한다.

사실 기술이라함은 최종 완제품을 이야기하는것보다는 그 완제품을 만드는 설비를 뜻하는 것이다.

산업혁명이후로 단순 인간의 손기술은 기술이라 이야기하기 어렵다.

즉 나사못 하나를 만드는데 인간이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한치의 오차없이 잘 깎아내는 것이 기술이 아니라

한치의 오차없이 잘 깎아내는 기계 설비를 만드는 것이 기술이라는 이야기다.

방송에서 맨날 떠들어대는 반도체를 보자.

반도체를 잘 만들어내면 기술력이 있는 것일까?

아니면 반도체를 찍어낼 수 있는 기계를 잘 만드는 것이 기술력이 있는 것일까?

반도체를 잘 만든다는 것은 좋은 설비와 좋은 자재가 선행되어야한다.

근데 설비도 수입이고 자재도 수입이다.

설계? 반도체 설계의 선봉은 인텔이다.

또 amd도 있고 arm도 있다.

우리나라가 낄 자리고 실력도 없단 얘기다.

그럼 왜 우리나라가 반도체 강국이라하고 마치 반도체 기술이 좋은것처럼 보이는 것일까?

우리가 학창시절 배웠던대로 우리나라는 중계무역에 특화되어 있으며

수출을 위한 수입이 이뤄질경우 세제혜택을 주며

다들 아시다시피 산업용 전기는 원가이하이다.

인건비가 이제는 싸지 않지만 하청, 용역으로 이뤄지는 구조를 보면 비싸지도 않고

이 위험한 산업으로인해 사람이 죽어도 푼돈으로 막고 끝나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가격의 우위를 가져갈 뿐이다.

물론 설비 왕창 자재 왕창 수입해서 맨날 반도체 만들다보니 생산상의 노하우는 가지고 있을 수 있으나 이건 그 어느나라 그 누구라도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람 목숨 갈아넣고 원가이하 전기쓰고 말도 안되는 수준의 세제혜택이 기술이라고 할 수도 있으려나? ㅋ

반도차는 차치하고 나사못이나 볼트,너트를 보자

무엇을 만들건 기초가 되는 것이다.

즉 나사못 하나 볼트너트 하나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면 기술력이라는건 없는거다.

그럼 우리나라는 나사못 하나 못만드나?

아니다 만든다.

다만 형편없다. 불량률도 높고 마무리도 거칠다.

그래도 싸게 잘 만든다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싸게 대충 만드는건 우리보다 중국이 더 잘한다.

결국 기초가 되는 나사못하나 제대로 만들어내는 기계를 만들 기술력도 없다는 얘기다.

이는 모든 산업 공히 통하는 얘기다.

원천기술이라는건 없을뿐더러 기초가되는 부품하나 만들지 못한다.

인문과학쪽도 마찬가지다.

오천년의 역사로 자위할뿐

반만년의 역사동안 이름 내세울 철학자 하나 없다.

그러니 기술도 없는 것이겠지만...

국뽕에 빠져 자위를 하거나

너무 폄하하는 것도 안좋다.

다만 현실을 정확하게 보고 이를 인정해야 다음 수순을 밟아나갈 수 있을것이다.

기술이 없는 것이 현실이고 사실인데

이를두고 폄하라 하지말자.

사람이, 사회가, 국가가 발전할 수 있는 첫걸음은
냉철한 시각으로 현실을 바라보고
그 결과에 수긍하고 인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모래위에 성을 쌓고 있다.

이것이 무너지는 것은 한순간이다.

지금이라도 모래위의 성을 포기하고

잘 다져진 흙으로 된 터나 튼튼하고 커다란 바위를 찾아야하지 않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