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란 무엇일까요??

기본적으로 사람들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소리 또는 문자, 몸짓 등의 힘을 빌려 표현하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

또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그 언어권의 혹은 국가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 전반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이 아닐까요?

단순히 말을하고 글을읽고 쓰는 과정이 아니라... 그 사회의 압축본을 보고 배우는 과정이겠죠.

그저 읽고 쓰고 말하기 위해 언어를 배우는 사람은 없다는 말이기도하고...

(그러고보니 우리네 영어교육은 진짜 의미없는 짓이네요 ㅋ)






언어에는... 그 나라의 역사가 어려있습니다.

새로운언어를 배울때... 역사를 이야기 함은 재미보단 필요에 의한 것이겠죠.

외국어는 그렇다치고요~

이제 우리 얘길 해봅시다.

단순히 문맹률을 이야기하고 싶지 않습니다.

실상 문맹률은 중요한 수치가 아니죠.

문해율과 역사의 이해라는 관점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게 뭔 상관이냐구요?? ㅎㅎ

이해를 돕기위해 몇가지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국제회의, 즉 언어가 다른문화권, 국가간의 이래관계가 얽혀있는경우 불어를 사용합니다.

영어라고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죠.

서로간의 오해와 해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불어는 모든 명사에 성이 있죠. 이는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전달을 도와줍니다.

그리고 우리네 한문...

수천년간써오던것을... 수백년된 한글로 대체하자는 이야기가... 무척이나 잘못된 일이고 지양해야한다는 사실을 아는이가 드뭅니다.

아직도 법원 판결문엔 한문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1. 장황해져선 안되고

2.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해야하며

3. 읽는 사람에따라 다른 해석이 나오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글의 효율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 한문이죠.



한글의 우수성과 자긍심을 버리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내 것이 소중하고 중요한만큼 남의 것도 그러하다는것이죠.

한문이 중국말이 아니라 우리가 속한곳이 한자 언어권 문화권인것입니다. 내꺼 남의꺼 구별의 대상이 아니라는 말이죠.


수천년간 한문을 써온 민족이... 한문을 버린다라...

그런 한문을 등한시하고 역사를 배우고 논한다는 것... 우스워 보이는 것은 제가 이상한것일까요? ㅎㅎ

효율성,명확성,편의성 등등 그 어느부분을 보아도... 한문 한자의 장점이 뚜렷합니다.


한문 한자를 버릴것이 아니라... 우리의 것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여야함이 맞는 일 아닐까요??

오히려... 우리가 버려야할 것은 영어입니다.

영어가 중요하다구요??

네 중요할순 있지만... 모국어보다 중요하진 않으며, 지금의 영어 교육, 영어공부는 중요성보다 그저 교육업계의 돈벌이와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이 옳다고 봅니다.

점점 한문 한자가 사라지고...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말끼를 못알아먹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을 보고 있자면... 정말 많이 답답합니다.




http://asher-tech.tistory.com/m/98

한문을 배워야하는 이유에 대해 검색으로 방문해주시는 분들이 꾸준하여... 이에대한 추가 포스팅을 생각하고 있었지만... 이제서야 올리네요 ㅎㅎ

뭔가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셨다면 링크 걸어드린 글을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별 시덥잖은 소리일지도 모릅니다.

허나 진실은 찾는자에게만 보이게 되어있죠.

남들이 다 알려줄꺼란 착각을 버리면... 더 많은 거들이 보입니다~^^


사람들은 점점 분별력을 잃어가고 게을러진다.

몸의 게으름이 아닌 생각의 게으름...

사고를 할줄 모르고 철학이 무엇인지 모른다.

당연히 그 중요성도 모름은... 말해봐야 입만 아플뿐...





구양수라는 당송시대 사람이 다독다작다상량에 대해 이야기했다.

구양수라는 사람의 이름은 몰라도... 글에 있어 삼다, 즉 다독 다작 다상량에 대한 부분은 많이 알 것이라 생각한다.

아니... 들어만 봤을것이라본다.

그의 말을 적용하는 사례(?)를 보면... 정말 생각없이 사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느낀다.

꼭 의식주를 이야기하면 처먹는것만 밝히듯...

도대체 맛집이 뭔지... 쩝

아무튼 삼다도 그렇다.

너무 읽기에 편중됨을 느낀다.

그래... 많이 쓰기도 하겠지...

허나 다상량은?? 사고의 양과 깊이는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는다.

이는 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고민도 없고 관심과 노력이 없음을 드러내는 일이다.

글이 뭘까에 대한 고민이 그 처음임에도...

그저 글 모르는 사람이 있냐고 쏘아붙일줄만 알뿐....

글은 사고와 말을 문자로 옮기는 과정이다.

사람의 생각을 입으로, 즉 말로 표현가능한 수치가 약 7,80%정도이다. 100%라면 이해라는 단어와 오해라는 단어는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글은 어떠한가...

말보다 그 수치가 낮다. 뉘앙스, 표정 등 디테일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수치가 높은 사람이 달변가이고 작가고 그런 것이다.

타고나는 부분도 없진 않지만... 노력에 대한 부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터...

그리고.. 말과 글의 근간은 사고라는것!!

그것을 말과 글로 옮기는 작업은 기술이라는 것.

이런 기본적인 사고와 지식없이 글을 싸지르는 인간들이 많아서...

인터넷이라는 공간이 이지경이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단어만 나열하면 문장이 되고, 문장만 나열하면 다 글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

나는 그런 것들에대해 먹물똥 이라고 하고싶다.

그냥 먹물을 뭉뚱그려 똥처럼 더럽게 만들어낸 것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다.

가치도 없고 오히려 치우는 노력이 필요한...;;

논술이다 자기소개서다... 글에 대한 해답만 찾은 일이 많아진 요즘...

제발 똥을 써내려고 하지 말아라...

똥을 만들어내는 것도 능력이라고 한다면 할말 없지만...

지난글들을 보다 최근 글들을 보면...

문장력이 형편없이 떨어졌음을 느낀다.

글을 쓰는 행위 자체가 줄어드니 글이 잘 써질리가 없는 것...

제목이 너무 상투적이고 거창하다.

작문에 왕도가 있고 글을 쓰는데 요령이 있을까??

물론 이에대한 답도 상투적일 수 있다.

다독다작다상량 이라는 말로 대신할수도 있다.

하지만 필자는 조금 더 기초적인(?) 이야기를 할까한다.

누구나 배웠고,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

역시나 상투적인 내용이지만... 생략할수도 해서도 안되는 부분이다.

"개요"

글을 쓸 때 이 부분은 절대 생략해선 안된다.

물론 필자도 이를 생략할 때가 있지만, 글을 한참 자주 쓸때는 큰 차이 없지만, 그렇지 않을때 생략하게되면 글의 질이 떨어지게된다.

몇몇 단어라도 적은 후 글을 시작해야 완성도가 높아지고 질이 높아지게 된다.

글을 쓰면서 따로 적어둔 개요를 옆에 두고 수시로 확인하며 글을 작성하는 연습을 해보자.

생각보다 꽤 괜찮은 글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일상의 기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자침  (0) 2015.10.22
휴대폰용 블루투스 구입가이드  (2) 2012.05.01
월페이퍼 taehee 1680,1920*1050  (0) 2012.02.23
캣쉿원 (Cat shit one)  (0) 2012.01.23
16회 푸드페스티벌 (16th Food Festival)  (0) 2012.01.20

+ Recent posts